느닷없이 ‘성자’가 된 김재원·배수빈·오창석

김재원·배수빈·오창석, 그들이 성자가 된 사연
[엔터미디어=소설가 박진규의 옆구리tv] 2013년 올해 드라마 속 남자배우들의 캐릭터에는 유독 독특한 지점이 있었다. 그것은 바로 나쁜 남자, 멋진 남자, 착한 남자, 예쁜 남자가 아닌 성자가 된 남자들의 캐릭터가 존재했다는 점이었다. ‘성자’는 말 그대로 지혜와 덕성이 있는 사람으로 남이 보기에 따르고 믿을 만한…… 아니 요즘은 그렇지는 않다. 자기 자신을 희생하며 타인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모든 것을 내어주는 성자가 올해의 대세는 아니기 때문이다.
그럼에도 2013년 세 편의 드라마에서 대중들은 인상적인 세 명의 성자를 만날 수 있었다. 물론 그들이 성자가 된 이유는 조금씩 다르다. 다만 공통적으로 그들은 성자에 어울리는 외모와 분위기, 그러니까 종교사원 옆에서 무표정하게 사진을 찍으면 어울릴 법한 그런 이미지를 지녔다. 물론 더 세밀하게 들어가면 세 남자배우의 분위기는 성자라는 공통분모로만 묶일 뿐 특유의 분위기는 조금씩 다르다.
우선 올해의 성자로 손꼽을만한 배우로는 <스캔들>의 주인공 하은중을 연기한 김재원을 들 수 있겠다. 이 드라마에서 작가는 처음부터 하은중을 성자로 설정한 것 같다. 겉보기엔 잘 안 씻고 추레한 몰골의 형사지만 그 성격의 면면을 들여다보면 김재원이 연기한 하은중은 타고난 성자다. 잔뜩 찌푸린 표정을 짓더라도 환한 미소만 보여주면 드라마 속 모든 인물들은 하은중 앞에 무릎을 꿇고 무너진다.
작가는 드라마 후반부에 하은중의 성자로서의 면모를 직접적으로 보여준다. 친아버지이자 냉혈한 기업가에 살인교사까지 저지른 친아버지 장태하(박상민)의 회개를 위해 하은중은 스스로 죄를 덮어쓰고 경찰에 자수한다. 이른 바 살신성인의

김재원·배수빈·오창석, 그들이 성자가 된 사연
[엔터미디어=소설가 박진규의 옆구리tv] 2013년 올해 드라마 속 남자배우들의 캐릭터에는 유독 독특한 지점이 있었다. 그것은 바로 나쁜 남자, 멋진 남자, 착한 남자, 예쁜 남자가 아닌 성자가 된 남자들의 캐릭터가 존재했다는 점이었다. ‘성자’는 말 그대로 지혜와 덕성이 있는 사람으로 남이 보기에 따르고 믿을 만한…… 아니 요즘은 그렇지는 않다. 자기 자신을 희생하며 타인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모든 것을 내어주는 성자가 올해의 대세는 아니기 때문이다.
그럼에도 2013년 세 편의 드라마에서 대중들은 인상적인 세 명의 성자를 만날 수 있었다. 물론 그들이 성자가 된 이유는 조금씩 다르다. 다만 공통적으로 그들은 성자에 어울리는 외모와 분위기, 그러니까 종교사원 옆에서 무표정하게 사진을 찍으면 어울릴 법한 그런 이미지를 지녔다. 물론 더 세밀하게 들어가면 세 남자배우의 분위기는 성자라는 공통분모로만 묶일 뿐 특유의 분위기는 조금씩 다르다.
우선 올해의 성자로 손꼽을만한 배우로는 <스캔들>의 주인공 하은중을 연기한 김재원을 들 수 있겠다. 이 드라마에서 작가는 처음부터 하은중을 성자로 설정한 것 같다. 겉보기엔 잘 안 씻고 추레한 몰골의 형사지만 그 성격의 면면을 들여다보면 김재원이 연기한 하은중은 타고난 성자다. 잔뜩 찌푸린 표정을 짓더라도 환한 미소만 보여주면 드라마 속 모든 인물들은 하은중 앞에 무릎을 꿇고 무너진다.
작가는 드라마 후반부에 하은중의 성자로서의 면모를 직접적으로 보여준다. 친아버지이자 냉혈한 기업가에 살인교사까지 저지른 친아버지 장태하(박상민)의 회개를 위해 하은중은 스스로 죄를 덮어쓰고 경찰에 자수한다. 이른 바 살신성인의
